영은문(迎恩門)은 중국 명나라 사신을 맞이하는 모화관(慕華館) 앞에 세웠던 문이다. 한성부 서부 반송방(盤松坊) 모화현(慕華峴), 현재 지명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었다. 조선 시대 내내 새 임금이 즉위하여 중국 사신이 조칙을 가지고 오면 임금이 친히 모화관까지 나오는 것이 상례였다.1407년(태종 7년)에 고려 시대 때 개경의 사신 접견 장소였던 영빈관을 본따 서울 서대문 밖에 모화루(慕華樓)를 세웠다가 1430년(세종 12년)에 모화관으로 개칭, 그 앞에 홍살문을 세웠다.1537년(중종 32년) 김안로(金安老) 등 3정승이 장계를 올려 모화관 남쪽의 홍살문을 개축하여 청기와를 입히고 영조문(迎詔門)이라는 액자를 걸었다.1539년(중종 34년)에 명나라 사신 설정총(薛廷寵)이 "칙사가 올 때에는 조(詔)ㆍ칙(勅)과 상사(賞賜)를 가지고 오는데, 영조문이라 함은 마땅하지 않다"라며 영은문(迎恩門)이라 써서 걸도록 하여 이름이 바뀌었다.1606년(선조 39년) 양차에 걸친 왜란으로 불탄 영은문을 재건한 뒤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이 와서 액자를 다시 써서 걸었는데, 해당 액자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1884년 갑오경장의 실패로 일본 세력과 개화파들이 일시적으로 물러나고, 개화파 김홍집 내각은 영은문을 청에 대한 사대굴욕외교의 상징으로 보아 1895년 2월에 철거하고 영은문 주초만 남겼다.1896년 7월에 독립협회가 조직되었고, 서재필은 자주독립의 상징인 독립문을 영은문 자리에 세울 것을 발의하였으며, 독립문은 1896년 11월에 준공되어 1897년에 완공되었다.영은문의 기둥을 세웠던 주춧돌은 사적 제33호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