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트 대한민국 강원도양양군
설악산 대청봉

양양군, 강원도, 대한민국

설악산 대청봉

길이19.9 km
고도 높이기1576 m
단계28000

트레일

경치 좋은

역사적 장소

작성자 jinhone-mobel
루트 디테일
설악산 대청봉은/는 19.9 km (28,000-걸음) 양양군, 강원도, 대한민국주변 입니다. 이 루트의 경도는 대략 1576 m 정도이며, 별점어려움 점을 받았습니다. 이것과 비슷한 루트를 Pacer 앱 에서 찾아보세요!!
설악산 대청봉 종주 오색주차장-대청봉-중청대피소-회운각-비선대-설악동

설악산

장소
설악산(雪嶽山)은 강원도 강릉시,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고성군에 걸쳐 있는 해발고도 1,708미터의 산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한라산과 지리산 다음으로 높은 산이다. 추석 무렵부터 눈이 내리기 시작하며 여름이 되어야 녹는 까닭으로 이렇게 이름 지었다. 한국 전쟁 전까지만 해도 이 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토에 속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에는 대한민국 영토가 되었다.

대청봉

대청봉은 설악산의 주봉으로서 예전에는 청봉(靑峯) 또는 봉정(鳳頂)이라고 불렀다.이 중에서 청봉이라는 이름은 창산(昌山) 성해응(成海應)이 지은 ≪동국명산기(東國名山記)≫에서 유래 됐다고도 하고, 봉우리가 푸르게 보인다는 데서 유래 됐다고도 한다.대청봉은 설악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이며, 태백산맥에서 가장 높고, 남한에서는 한라산 백록담(1950M), 지리산 천왕봉(1915M)에 이어 세번째로 높다.공룡릉ㆍ화채릉ㆍ서북릉 등 설악산의 주요 능선의 출발점으로 내설악ㆍ외설악의 분기점이 되며, 천불동 계곡ㆍ가야동 계곡 등 설악산에 있는 대부분의 계곡이 이곳에서 발원한다.인근에 중청봉(1665M), 끝청봉(1610M), 소청봉(1581M)이 있다.설악산의 정상인 이곳 대청봉은 일출과 일몰로 유명하며, 기상 변화가 심하고, 몸이 밀릴 정도의 강한 바람, 낮은 온도 때문에 눈잣나무 군락이 융단처럼 낮게 자라 국립공원 전체와 동해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늦가을부터 늦봄까지 눈으로 덮여 있고, 6~7월이면 진달래ㆍ철쭉ㆍ벚꽃으로 뒤덮이며, '요산요수(樂山樂水)'라는 글귀가 새겨진 바위와 '1708M 대청봉'이라고 새겨진 정상 표지석이 있다.정상까지 오색 방면, 한계령 방면, 설악동 방면, 백담사 방면의 코스가 있는데, 오색에서 설악폭포를 거쳐 정상에 오르는 5.0㎞(4시간)가 최단거리 코스이다.참고로 백두산에서 시작된 백두대간은 금강산~향로봉~진부령~미시령~북주릉~공룡릉~소청봉~중청봉을 거쳐 이곳 대청봉을 지나 끝청봉~한계령~점봉산~오대산~태백산~소백산~덕유산~지리산까지 연결된다.또, 참고로 오른쪽에 있는 [등산]-[등산로]의 '2.

설악산 비선대와 천불동계곡 일원

장소
설악산 비선대와 천불동계곡 일원(雪嶽山 飛仙臺와 千佛洞溪谷 一圓)은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자연명승이다. 2013년 3월 11일 대한민국의 명승 제101호로 지정되었다.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

장소
속초 향성사지 삼층석탑(束草 香城寺址 三層石塔)은 대한민국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향성사지에 있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삼층석탑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443호로 지정되어 있다.향성사 옛터에 남아 있는 이 탑은 2중기단의 석탑으로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높이는 4.33m, 지대석 폭 3.6m의 전형적인 남북국 시대 석탑양식을 간직하고 있다. 탑은 후박하고 온아한 품격과 옥개 등에도 별다른 장식을 하지 않고 거의 직선에 가깝게 단조로운 처리로 신라 석탑의 맛을 계승하고 있다. 1966년 해체·보수할 당시 3층 옥신 상면에서 사리공이 발견되었고, 동판이 덮여 있어 사리를 모셨던 것이 틀림없었으나 내부의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태백산맥

장소
태백산맥(太白山脈, Taebaek Mountains)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원산시 부근의 추가령구조곡에서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이르는 산맥으로 한반도의 동부를 종단하는 산맥이다. 길이는 약 500 km 정도이며, 해발 1000 m이상의 산들이 솟아있다. 소백산맥과 합치면, 한반도의 등뼈를 이룬다.최고봉은 대한민국의 강원도에 있는 설악산(1,708 m)이며, 금강산(1,638 m) 또한 이 산맥에 속한다. 한반도의 주요 하천인 한강과 낙동강은 이 산맥에서 발원한다.

속초 신흥사 안양암 아미타회상도

장소
속초 신흥사 안양암 아미타회상도(束草 新興寺 安養庵 阿彌陀會上圖)는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신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2011년 8월 12일 강원도의 유형문화재 제165호로 지정되었다.

신흥사 (속초시)

건물
신흥사(束草 新興寺)는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에 있는 조계종 사찰이다.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7호로 지정되었다.신흥사는 652년(진덕여왕 6년)에 자장율사가 창건한 향성사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향성사란 ‘중향성불토국’이란 뜻으로 지금의 자리에서 동방 약 1 km 지점에 세웠으나 49년 후인 701년(효소왕 10년)에 화재로 불타 없어졌다. 그 뒤 의상조사가 지금의 신흥사 북방 1.5 km 지점인 현 내원암 자리에 선정사를 다시 세워 불법을 전하다가 인조 20년(1642)에 화재로 없어졌다.인조 22년(1644)에 고승 영서, 연옥, 혜원 세 스님이 현 위치에 중건하고 신흥사라 이름붙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속초 신흥사 부도군

장소
속초 신흥사 부도군(束草 神興寺 浮屠群)은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신흥사에 있는 부도군이다. 1991년 2월 25일 강원도의 유형문화재 제115호로 지정되었다.

속초 신흥사 금고

장소
속초 신흥사 금고(束草 新興寺 金鼓)는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신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교공예품이다. 2011년 8월 12일 강원도의 유형문화재 제163호로 지정되었다.

속초 신흥사 명부전

장소
속초 신흥사 명부전(束草 新興寺 冥府殿)은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신흥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2011년 12월 16일 강원도의 유형문화재 제166호로 지정되었다.
루트 디테일

길이

19.9 km

고도 높이기

1576 m

단계

28000
작성자
jinhone-mobel
앱에서 열기열기